토질역학 - 체分析 시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3:17
본문
Download : 토질역학 - 체분석 시험.hwp
(Simmer,1980)
Download : 토질역학 - 체분석 시험.hwp( 93 )
설명
② 함수비 측정(measurement)용구





흙을 토목재료로 사용하는 구조물 즉, 흙댐이나 하천제방, 도로 또는 비행장 활주로 등에서는 흙의 공학적인 성질을 파악하는데 흙입자의 크기와 입도분포가 대단히 중요한 자료로 사용된다.
흙을 토목재료로 사용하는 구조물 즉, 흙댐이나 하천제방, 도로 또는 비행장 활주로 등에서는 흙의 공학적인 성질을 파악하는데 흙입자의 크기와 입도분포가 대단히 중요한 자료로 사용된다 따라서 흙의 입도분포를 결정하는 것은 모든 토질시험의 기초로 되어 있다아 흙의 입도분포는 흙의 종류에 따라서 체分析이나 비중계分析을 실시하여 구한다. 즉, 조립토는 체분석을 실시하여, 세립토는 비중계분석을 그리고 혼합토는 체분석과 비중계분석을 병행하여 입도분포를 구한다.
다. 따라서 흙의 입도분포를 결정하는 것은 모든 토질시험의 기초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체의 번호와 눈금의 크기는 표-2.6과 같다. 일반적으로 체分析(분석)에 필요한 시료의 양은 시료의 최대입경으로부터 결정하며(표-2.7) 저울은 시료무게의 0.1%를 측정(measurement)할 수 있는 정밀한 것이어야 한다. 즉, 조립토는 체分析을 실시하여, 세립토는 비중계分析을 그리고 혼합토는 체分析과 비중계分析을 병행하여 입도분포를 구한다.
◈ 시험목적
1) A방법 (세립토 소량함유)
순서
① 체 1세트(No.4, No.10, No.16, No.40, No.60, No.100, No.140, No.200)
◈ 시험장비
◈ 시험방법
토질역학,체분석 시험
조립토와 세립토가 섞여 있는 혼합토는 체分析(분석)과 비중계 分析(분석)을 병행실시하여 입경과 입도분포를 구해야 한다. ④ 건조로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③ 저울 : 감도 0.01gf이상의 것이어야 한다. 세립토의 함유량이 적은 경우에는 다음의 A방법을 적용하고 반대로 세립토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B방법을 적용하여 입도분포를 구한다.
토질역학 - 체分析 시험
(1) 개요
흙입자의 크기와 그 분포는 네모눈금을 가진 체를 체눈금 크기의 순서로 포갠 다음에 흙을 부어 넣고 흔들어 체를 통과한 흙의 중량을 구하여 알아낸다. 흙의 입도분포는 흙의 종류에 따라서 체분석이나 비중계분석을 실시하여 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