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결이란 무엇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9 21:53
본문
Download : 구결이란 무엇인가.hwp
’라고 까지 말한다. 이를 이승재 교수는 ‘13세기 말엽을 기준으로 하여 중세국어를 전기와 후기로 양분한 시대 구분이(이기문 1972) 정확한 것이었음을 구결 자료(資料)를 통하여 입증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독법에 따르면 (2.가)는 완전한 우리말 어순으로 바뀌어 (2.나)가 된다 그런데 (2.나)의 ‘유ㅅ겨며[잇겨며]’와 ‘가ㅅㄴ[짓]’에서 구결자 ‘ㅅ’이 말음첨기(말음첨기)의 용법으로 쓰인 것이 확실하므로 ‘유ㅅ겨며’와 ‘가ㅅㄴ’을 (2.다)에서처럼 각각 ‘잇겨며’와 ‘짓’(혹은 ‘직’)으로 새겨 읽어야 한다. 이때 한자어구에 속하는 ‘유’와 ‘가’를 각각 고유어 ‘잇-’과 ‘짓’으로 새겨 읽는다는 점을 중시하여 이러한 구결을 훈독구결(훈독구결)이라 칭할 수 있다
2) 석독구결 자료(資料)는 대개 13세기 말엽 이전의 우리말을 반영하는 듯하고 순독구결 자료(資料)는 13세기 말엽 이후의 우리말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13세기 말엽을 기준으로 우리 국어에 alteration(변화) 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Ⅰ. 들어가면서
Ⅱ. 본론
1. 구결이란?
2. 구결(구결)과 토(토)
3. 석독구결과 순독구결
4. 구결의 표기법
5. 구결의 연구사
Ⅲ. 마치면서
1. 앞으로의 구결 연구의 방향
2. 구결연구의 중요성
구역인왕경에는 (2.가)와 같이 한문 원문에 왼쪽 토(위첨자로 표기)와 오른쪽 토(아래첨자 방향)가 기입되어 있다 이 구결토들은 왼쪽 토가 달린 부분을 먼저 읽은후 오른쪽 토 부분은 나중에 읽되, 역독점(역독점)이 나오면 거슬러 올라가서 미뤄 두었던 토 부분을 읽는다. 이것은 ‘겨[겨]’가 담당하였던 문법 기능의 alteration(변화) 와 관계가 깊은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거슬러 올라가는 독법이 있음을 강조하여 이러한 구결을 역독구결(역독구결)이라 부른다.구결97 , 구결이란 무엇인가?감상서평레포트 ,
,감상서평,레포트
레포트/감상서평
Download : 구결이란 무엇인가.hwp( 45 )
한자차용 표기 연구중 `구결`에 대한 글입니다. `구결`에 대한 소개와 그동안의 연구사 및 앞으로 연구방향에 대한 리포트입니다. 13세기 말엽까지의 석독구결에서는 ‘겨[겨]’가 주체경어법 선어말어미 ‘-겨-’를 표기하였다(이승재 1996). 그런…(省略)
구결이란 무엇인가?
설명






순서
구결97
다.
3) 석독구결에서 순독구결로의 alteration(변화) 과정에서 나타난 차이점
(1) 문법 범주나 문법 형태의 alteration(변화) 가 문자의 생성이나 소멸에 큰 influence을 미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석독구결에서는 생산적으로 쓰이던 구결자 ‘겨[겨]’가 순독구결에서는 전혀 눈에 띄지 않는다. `구결`에 대한 소개와 그동안의 연구사 및 앞으로 연구방향에 대한 리포트입니다.
한자차용 표기 연구중 `구결`에 대한 글입니다.